성인기는 자녀가 부모로부터 독립하고, 가정을 꾸리고, 노동력에 참여하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발달 과제를 수행하는 시기입니다.
B. 부모가 된다.
사람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 건강은 성인기의 발달 과제에 대처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성인기의 삶의 질과 적응력에 중요합니다.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아정체감 혼돈과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 우울, 약물남용 등의 정신건강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성인의 25.4%는 일생에 한 번 이상의 정신질환을 경험하고 바쁜 일상 속에서 다양한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됩니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여성의 32.0%, 남성의 26.2%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또는 ‘많이’ 느끼고 있으며, 특히 30대 남성과 20대 여성이 많았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우울증 비율은 2017년 성인 여성의 13.4%, 성인 남성의 9.1%가 우울증을 앓았고, 연령대별로는 60~70대 이상이 우울증 비율이 가장 높았다.
즉, 우울증 경험률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경험률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20대에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하고 30~40대에 감소했으며, 그런 다음 50 대에서 다시 일어났습니다.
현대인이 겪는 스트레스와 우울증은 자살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OECD 국가 평균 자살률은 11.5명인데, 2018년 기준 한국의 자살률은 24.7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특히 자살이 우리나라 10~30대 사망원인 1위, 40~50대 사망원인 2위라는 점을 감안하면 성인의 정신건강이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성인 정신 건강 연구에 따르면 성인 정신 건강은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결혼 상태, 건강, 경제 수준, 가족 관계 및 사회 활동 참여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성년의 발달 단계와 연령 기준은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성년은 법적 성인으로 인정되는 19세부터 시작하여 크게 초기 성인기, 중기 성인기, 후기 성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성인기는 자녀가 진로 선택과 친밀한 관계 형성에 더 관심을 갖고 부모로부터 심리적/경제적으로 독립하여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는 시기입니다.
중년기라고 하는 중년기는 생산성의 시기로 직장에서의 역할 변화, 자녀의 성장, 부모의 노후화 등 다양한 생활 사건을 경험합니다.
노년기는 성인기의 후반기로서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해 인간 발달의 다른 단계보다 오래 지속되며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저하되고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는 시기입니다.
이와 같이 성인기의 각 단계에서 다양한 발달과업을 성취하고 생활사건을 경험하며, 이러한 경험은 성인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인기의 정신 건강은 다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정신 건강, 행복, 우울증 및 자살 생각으로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초기 성인기의 정신 건강
초기 성인기는 일반적으로 신체적, 지적 능력의 정점이지만 “나는 누구인가?”, “학교, 직장, 친밀한 관계에서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와 같은 질문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압박을 경험합니다.
“. 따라서 성인 초기는 대학, 진로, 결혼 등 인생의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입니다.
또한 신경생리학적 발달, 자아정체성 추구, 사회적 관계의 확장 등으로 성인 초기에 약물 사용과 같은 위험한 행동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대부분의 주요 정신질환도 성인 초기에 나타난다.
성인 초기는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초기 성인기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발달 과제에는 심리사회적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Erickson에 따르면 초기 성인기의 가장 중요한 심리사회적 발달 과제는 친밀감의 획득입니다.
친밀감은 사랑, 우정, 일 등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청소년기에 형성된 지속적인 자아정체감은 성인 초기의 친밀감 획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친밀한 관계 형성, 가족 및 부모 역할 시작, 일에 참여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발달 과제는 초기 성인기에 관리되므로 이러한 발달 과제의 관리는 성인기의 삶의 질에 중요합니다.
장휘숙은 초기 성인 발달과제로 다음과 같은 7가지 발달과제를 제시하였다.
1. 배우자를 선택하십시오.
1. 배우자와 함께 사는 방법을 배우십시오.
3.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십시오.
4. 자녀 양육.
5. 가정을 관리합니다.
6. 직업 생활을 시작하십시오.
7. 법규를 준수하고 불법행위를 하지 않는다.
이후 30대 초반의 성인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달 과제의 성별 차이가 보고되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우자 선택”입니다.
결혼·가정·부양·법률준수·비법행위 미수 영역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성취율이 높았지만, 취업에서는 남성이 남성보다 성취율이 높았다.
발달과제의 중요성에 대해 남성은 여성보다 ‘결혼 및 가정 꾸리기’, ‘취업’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여성은 ‘법을 준수하고 불법행위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더 중요. 한편, 김재희와 박은규는 28~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결혼과 취업급여 유형에 따른 사회적 고립 정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결혼성공은 경력성공보다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성인기의 발달과업 성취가 성인기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